10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제 28회 부산국제영화제 결산

이미지
 토,일 일정을 취소하여 4편의 작품만 보았다. 여러 경로로 못 본 작품들도 얼른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프레드릭 와이즈먼, <메뉴의 즐거움 - 트와그로 가족> 우리가 다큐멘터리를 통해 보는 것은 진실일까? 진실보다는 진실을 향한 누군가의 시선이라는 것이 맞을 것이다. 와이즈먼의 작품을 통해 자신의 시선이 어떻게 분배되는지 관객들에게 보여주며 다큐멘터리라는 장르는 "모든 것을 보여줄 필요가 없음"을 설득시키고 있다.  그는 해당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포인트를 언급한다. 미셸 트와그로가 자신의 일본 여행 경험에 대해서 얘기하는 장면과 식당의 위치가 변경된 것에 대해 묻는 손님에게 대답을 해주는 장면인데 와이즈먼은 목도한 현실을 오로지 해당 장면을 위해 켜켜이 쌓아올린다. 카메라가 목격하고 있는 장면들은 전부 현실의 것이지만 (심지어 대부분의 장면은 롱테이크로 담담하게 촬영되어 상당히 진실된 것처럼 느껴지지만) 특정 순간에서 진실과 거짓의 경계를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들뢰즈가 "거짓의 역량"이라는 용어를 들어 설명하듯 단지 진실에 비해 상대적인 거짓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그 둘을 흐트려놓는 것이다.  가령 치즈공장의 대표가 치즈의 보관 방식에 대해 설명하며 "손으로 지우면 유통기한이 나타난다"는 것을 언급하는 장면에서 카메라는 다음 행위를 비추지 않고 곧장 노동자들에게로 시선을 돌린다. 이 장면은 식당에서 직원들이 일하던 모습과 비교하면 무지 이질적이다. 생산지를 설명하는 사람들의 말을 신뢰하지 않겠다는 것처럼 보일 정도인데 사실 영화 안에서 그들의 말이 신뢰할 만한 것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영화는 결국 미셸 트와그로의 미식을 향한 근본적이고 정직한 고집이 트와그로 가족의 식당을 성하게 만들었다는 결론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농지를 둘러보고 친환경 농법에 대한 설명을 들어도 결국 트와그로 가족이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재료의 로컬함과 맛 뿐이고, 그들은 이미지와 스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