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리코르디아, 알랭 기로디 (2024)
명확한 목적지가 없는 운전은 결국 제레미를 마을로 돌아오게 만든다. 정확히는 마을이 그를 붙잡는다.
정해진 종착지가 없는 운전만큼이나 주인공 제레미 역시 알 수 없는 인물이다. 마을 사람들이 애착을 가질 대상은 사실 제레미보다는 출신이 명확하고, 혈연과 추억으로 연결된 뱅상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을에 거주하는 마르틴과 필립, 그리고 왈테르는 제레미를 필요 이상으로 두둔한다. 미지의의 숲속에서 뱅상이 죽은 자리에 버섯이 핀 이후로 살인 사건은 그 실체가 구체화되나 그들은 제레미의 은신처가 되길 자처한다. 그 과정에서 인물들이 서로 공유하는 섹슈얼한 욕망은 심화된다.
여러 인물들의 얽히고 설킨 욕망을 다루는 과정을 통해 <미세르코르디아>는 자비와 사랑이란 개념을 파헤친다 영화는 노골적으로 살인 사건을 해결하지 않을 것임을 드러낸다. 등장인물들 간의 과거를 밝혀 갈등의 이유를 명명하려 들지도 않는다. 가장 진한 파토스가 느껴지는 부분도 역시 제레미와 필립 신부의 대화에 있다. 목숨을 끊어 업보로부터 도망치려는 제레미를 설득하는 필립 신부의 어딘가 애절하고 격정적인 대사는, 알랭 기로디가 영화를 통해 말하고 싶은 바와 닿아있다.
재밌는 점은, 기로디는 이러한 여정 사이에 기독교적인 요소들을 끼워넣는다는 사실이다. 도덕적 해이를 두고 과할 정도로 무조건적인 사랑을 고백하는 신부의 모습은 예수의 것과도 닮아 있다. 그는 위의 대화 이후 제레미를 보호하기 위해 늙은 신부에게서는 보편적으로 거세된 성적인 욕망을 가감없이 드러낸다. 이는 어딘가 우스꽝스럽고 추하지만 한편으론 사랑의 핵심이 그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윽고 정처 없이 떠돌던 제레미는 이러한 필립 신부의 질타와 보호를 받고, 마침내 마르틴과 함께 잠자리에 드는 것으로 새 삶의 둥지를 튼다. 이러한 결말은 성경의 카인과 아벨을 떠올리게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이 <미세르코르디아>는 성애를 두고 종교적인 색채로 위트 있게 풀어내며 상당히 도발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댓글
댓글 쓰기